🗾 일본 여행기/🔹 간사이(関西)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홍씨:) 2025. 1. 24.
반응형

이세신궁 외궁 방문 후 내궁에 방문을 했었는데 역시 '내궁'이라는 이름답게 평일 아침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참배객을 볼 수 있었다. 이세신궁의 기본 절차는 외궁에서도 이미 소개했기 때문에 이번 내궁 관련 글에서는 이세신궁 내궁의 궁금증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많이 해볼까 한다.

 

1. 이세신궁

🔹 내궁 소개

이세신궁의 외궁이 풍수의 신 토요우케히메(豊受大御神)를 모시고 있다면 이세신궁 내궁은 일본 왕실의 조상으로 태양에 비유되는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御神)를 모시고 있는 신궁이다. 이세신궁의 경우 전국에서 많은 참배객이 방문하는 관광명소이며 일본 사람들의 마음의 고향이라고 불리고 있는 곳인데 지금까지도 일본 왕실 행사 등이 진행되고 있는 아주 상징적인 장소라고 할 수 있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이세신궁에서는 연간 1500여회의 축제가 열리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이곳에서는 봄과 가을 두 차례 일본 국민들의 평안을 비는 '신악제(神楽祭)', 풍년을 기원하는 '기년제(祈年祭)'와 수확에 감사하는 '신상제(新嘗祭)' 등이 유명하다. 

🔹 외궁 소개

이세신궁 외궁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외궁-정궁(伊勢神宮 外宮)

이세신궁을 표현하는 수식어들은 정말 여러 개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말이 아마도 '일본인의 마음의 고향'이라는 말이 아닐까 싶다. 약 2,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세신궁은 전국

tour-japan.tistory.com

🔹 내궁와 외궁의 차이?

같은 이세신궁을 내궁과 외궁으로 나누어 부르는 이유는 내궁의 '내'가 천황을 나타내기 때문이라는 설이 가장 힘을 얻고 있다. 황대신궁의 제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황실의 조상의 신이기 때문에 '내'를 붙인 것으로 보는데 이곳도 나라 시대에는 외궁이라고 불린 기록이 있다고 한다. 

 

2. 기본정보

🔹 이름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 한국어 : 이세신궁 내궁
  • 일본어 : 伊勢神宮 内宮
  • 영어 : Ise Jingu Naiku

🔹 운영시간

  • 1월~4월, 9월 : 오전 5시부터 오후 6시까지
  • 5월~8월 : 오전 5시부터 오후 7시까지
  • 10월~12월 : 오전 5시부터 오후 5시까지

🔹 요금

무료

🔹 주소 및 위치

1 Ujitachicho, Ise, Mie 516-0023 일본 <구글 지도에서 위치 보기>

반응형

 

3. 후기

🔹 천연 테미즈야

손을 씻는 테미즈야가 없던 시절에는 이즈스가와에서 손을 씻었다고 한다. 이곳은 천조대어신을 모시는 장소를 찾아 여행을 하던 야마토히메(倭姫命)가 당시의 옷자락을 씻었다는 전설도 내려오는 이 장소는 그 의미를 아는 사람들에게는 한 번씩 찾아가 보는 명소가 되고 있기도 하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 통행 방향

이세신궁의 내궁의 경우 우측통행이 기본이다. 이세신궁의 외궁의 경우 좌측통행을 해야 했는데 이 미스터리에 대해서는 일본의 오래된 책에도 그 이유가 적혀 있지 않다. 다만 신사에 들어갈 때 손을 씻는 장소가 내궁에는 오른쪽에 있고 외궁에는 왼쪽에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통행 방향이 나누어지게 된 것은 아닌지 추측을 할 뿐이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 정궁에 오사이센바코(봉납함)가 없다

신사의 중심이 되는 곳에 가면 보통은 신에게 소원을 빌고 금전을 봉납하는 상자인 '오사이센바코'가 있기 마련인데 내궁의 정궁에는 그런 것을 볼 수 없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이렇게 많은 참배객이 와서 봉납함에 돈을 넣으면 신사의 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했는데 이곳은 개인적인 소원을 비는 곳이 아닌 일상의 감사함을 전하는 곳이기 때문에 천황으로부터의 공물이 아니면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설사의 말이 있었다. 다만 다른 신사처럼 신에게 참배하고 돈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어 임시로 봉납함을 설치하는 경우도 물론 있다고 했다. 

🔹 오미쿠지가 없다

보통의 신사에 가면 오미쿠지가 있는데 이세신궁의 경우에는 오미쿠지를 볼 수가 없다. 왜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이유에 공식 홈페이지의 답변도 그저 '예전부터 없었다'는 답변 밖에 없어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정궁에 봉납함이 없는 이유를 미뤄볼 때 오미쿠지 또한 개인의 소원을 비는 행동이기 때문은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

미에 여행 🦞 이세신궁 내궁-정궁(伊勢神宮 内宮)

 

신이 모셔져 있는 곳은 사진을 찍는 행위가 실례되는 행위다. 그렇기 때문에 정궁의 경우에도 하얀 천으로 신이 모셔진 곳을 보호해 놓은 1차적 장치와 어떤 기준선을 정해서 이 구역을 넘어서는 사진을 찍지 않도록 구분을 해 놓았으니 혹시라도 이세신궁에 방문하게 된다면 올바른 참배규칙을 지키는 성숙한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홍씨의 일본 이야기


 

홍씨의 일본 이야기🗾

일본 여행 정보, 일본 관광 정보, 일본 여행팁, 일본 여행 에피소드 등 직접 경험하고 느꼈던 것을 알려드릴게요 :)

tour-japan.tistory.com

 

⭐ 원하는 지역 정보 찾기

일본에는 총 47개의 도도부현이 있습니다. 각각의 도시를 한 게시판에 올리다보면 본인이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아내기 어려워지는 관계로 불가피하게 지방별로 게시판을 나눠놨습니다. 내가

tour-japan.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