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행팁 🔰 일본 버스 타는 방법
일본 버스 타는 방법
일본에 처음 갔을 때는 정말로 버스를 타는 것이 어려웠다. 일본의 리무진 버스도 한국처럼 앞문으로 승차해서 앞문으로 하차하는 것은 똑같지만 노선버스가 문제였다. 물론 일부지역에서는 노선버스도 한국처럼 앞으로 타서 뒤로 하차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본의 대부분의 노선버스는 뒷문으로 승차하고 앞문으로 하차하는 시스템이다.
뒷문으로 승차하고 앞문으로 하차하는 버스는 '거리 비례 요금'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보다 정확한 거리 비례 요금을 계산하기 위함이다. 한국을 잠깐 예로 들면, 예전에 수원에서 용인으로 가는 일반 시내버스를 탄 적이 있었는데 한 외국인이 기본요금만 내고 탑승했다가 시(市)가 바뀌는 순간 기사님이 버스를 세우더니 외국인보고 요금 덜 냈으니까 내리라고 하더라. 정말로 보기 좋지 않은 광경이었고 기사님을 이해하고 싶지는 않지만 기사님이 그랬던 이유는 거리비례 요금으로 운영되는 버스였기 때문이었다. 일본의 경우에는 뒤로 탈 때 어디서 탔는지에 대한 표식이 있는 종이를 뽑아야 하고 내릴 때 기사님께 보여주고 요금을 내기 때문에 한국의 수작업(?) 시스템보다 과학적이다.
그럼 여기서 한국과 일본의 버스를 잠시 비교해보려고 한다.
- 일본은 요금통에 요금을 넣으면 자동으로 얼마가 투입되었는지 표시되지만 한국은 기사님이 얼마를 넣었는지 눈에 불을 켜고 봐야 한다.
- 일본은 버스 잔돈을 거슬러 주지 않으므로 정확한 요금을 투입해야 하지만 한국 기사님은 거스름돈을 준다.
- 일본은 버스 내부에 잔돈으로 환전 가능한 기계가 있지만 한국은 없다.
- 일본은 버스 프리패스권, 현금, IC카드 등으로 버스를 탈 수 있으나 한국은 현재 현금과 IC카드만 가능하며 심지어 현금을 줄이고 IC카드로만 탑승이 가능하도록 바뀌어 가고 있는 중이다.
- 일본은 왼쪽, 오른쪽으로 꺾을 때나 버스의 문이 열리고 닫힐 때 기사님이 육성으로 방송을 하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다.
- 일본은 버스가 정차하고 자리에서 일어서도 늦지 않지만 한국은 광역버스 이외의 버스는 미리 문 앞에서 내릴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 일본은 노선버스 정류장에 버스가 언제 들어오는지 시간표가 붙어 있지만 한국은 그런 아날로그 시스템이 없다.
- 일본의 노선 버스는 뒷문으로 승차해서 정리권이라는 종이를 뽑아서 버스 정면의 전광판에서 내릴 때 요금을 확인해야 하지만 한국은 거리비례라고 해도 현금 승차 시 기본요금만 내는 경우가 많다.
- 일본의 대부분의 노선버스는 저상버스지만 한국은 저상버스가 아닌 버스도 많다.
- 일본의 버스는 좌석이 좁은 편이지만 한국의 버스는 상대적으로 좌석이 넓은 편이다.
이번에는 뒷문으로 승차해서 앞문으로 하차하는 일본의 노선버스의 탑승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교토를 운영하고 있는 게이한버스에서 이미지를 가져왔는데, 우선 사진의 번호와 사진을 비교하면서 보자.
1. 앞과 뒤, 옆의 행선지를 확인한다.
2. 뒤로 타고 앞으로 내린다.
3. 뒷 문으로 승차할 때 버스에 타자마자 사진과 같은 기계가 보인다. 현금으로 요금을 지불할 사람은 종이를 뽑자. 교통카드 사용자는 카드를 태그하면 된다.
4. 버스 내의 모니터를 확인해가며 내릴 정류장에서 하차 버튼을 누르자.
5. 버스 앞 전광판에 숫자가 쓰여있고 요금이 적혀있다. 예를 들어 위의 3번 단계에서 종이를 뽑았는데 종이에 1번 이 적혀있었다면 버스 실내 화면 정면에 '1'이라고 쓰여 있는 칸을 찾는다. '1' 아래에 쓰여있는 금액 230이 지불해야 할 요금이다. 거리비례라서 어디에서 타고 내리는지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혹시나 카드로 버스 요금을 지불하는 사람을 내릴 때 또 태그 하면 된다.
혹시나 버스 내부의 요금통에 관련된 궁금증은 아래에 있는 글을 확인! ▼ (노면전차에 설치된 것과 같다)
나가사키 여행 :: 나가사키 노면전차 티켓 구매, 탑승 방법
나가사키 전기궤도(노면전차) 일본 여행을 하다 보면 간혹 노면전차가 운행하는 지역들이 있다. 구마모토에서도 본 적이 있고, 후쿠이에서도 본 적이 있고 심지어 히로시마에서도 본 적이 있는
tour-japan.tistory.com
일본 버스팁!
- 일본 버스 기사님은 서비스 정신이 높아 대부분 친절하다. 환전을 어디서 하는지 어디에 요금을 넣어야 되는지 물어보면 손짓 발짓을 써서라도 다 알려주신다.
- 정리권을 실수로 뽑지 않았다면 자신이 어디에서 탔는지 기사님께 말하면 된다. 아니면 눈치껏 얼른 뽑아라.
- 구글 지도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한 후 요금이 어느정도 나오는지 미리 확인해 두면 요금을 낼 때 간편하다.
- 예를 들어 부모님과 버스를 타서 160엔씩 나왔다. 그럼 무리해서 개인별로 잔돈을 160엔씩 맞춰 내지 말고 한 명이 480엔을 내면서 3명이라고 알려줘도 된다.
혹시나 버스 타는 방법이 아직도 어려우면 아래 링크에 그림과 함께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으니 참고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일본의 교통 - 버스 | DiGJAPAN!
digjapan.travel
🔸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시 확인해주세요.
<메인 페이지로 가기 ▼>
홍씨의 일본 이야기🗾
일본 방문 30회🗾 일본 여행 정보, 일본 관광 정보, 일본 여행팁, 일본 여행 에피소드 등 직접 경험하고 느꼈던 것을 알려드릴게요 :)
tour-japan.tistory.com
'🔰 일본 여행팁 > 🔸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여행팁 🔰 산큐패스의 모든 것(SUNQ PASS) (7) | 2023.12.13 |
---|---|
일본 여행팁 🔰 하이웨이버스 이용 팁 (0) | 2023.12.08 |
일본 여행팁 🔰 전철 출입문 버튼 (2) | 2023.12.02 |
일본 여행팁 🔰 하이웨이버스로 예약하기 (3) | 2023.11.10 |
일본 여행팁 🔰 JR 레일패스 교환방법&지정석 발권 (0) | 2023.09.23 |
댓글